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1 No.2 pp.161-169
DOI : https://doi.org/10.7318/KJFC/2016.31.2.161

The Impact of Coworker Relationship of Employees on Quality of Work Life in Contract Foodservice

Kyung Soo Han, Jung Tak Lee*
Department of Foodservice and Culinary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Korea
Corresponding author: Jung-Tak, Lee, Department of Foodservice and Culinary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24, Kyonggidae-ro 9-gil, Seodaemun-gu, Seoul, Korea Tel: 82-2-249-5126 Fax: 82-2-390-5149 soeoa1@naver.com
March 10, 2016 April 8, 2016 April 26, 2016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co-worker relationship on of life between employees of contract foodservice in general hospital. Contract foodservice managed general hospitals surveyed from 1 October 2015 to 31 October 2015.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cook-30 questionnaires, nutritionist-50 questionnaires, cook’s helper-1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7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As a result, the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contract foodservice general hospital was composed of sub-factors (employee engagement, stress at work, home-work interface, working condition, general well-being). co-worker relationship was composed of sub-factors (cooperative co-worker relationship, competitive co-worker relationship).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ooperative co-worker relationship had an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stress at work, working condition and general well-being. competitive co-worker relationship.


위탁급식 종사원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 경수, 이 정탁*
경기대학교 외식조리학과

초록


    Kyonggi University

    I.서 론

    국내 위탁급식시장은 영역확대와 프리미엄급식시장이 창 출되며 꾸준한 상승세로 2014년도 36% 위탁율에서 2020년 39%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병원급식의 확대 는 매출 및 수익성 개선에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다(Hyundai green food system audit report 2015).

    우리나라의 최근 3년간 상급종합병원 지정소는 43개이며, 근무하는 영양사의 수는 388명, 조리사의 수는 215명이다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병원 당 평균 영 양사의 수는 약 9명이며, 조리사의 수는 약 5명으로 나타났 다. 2009년(4분기 기준)도 상급종합병원의 영양사 수는 240 명, 조리사 수는 215명으로 집계되어 조리사의 수는 변동이 없으나 영양사의 수는 약 5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종합병원 43곳의 병상 수는 평균 1,003개(최대 2700 병상, 최소 500병상)로 영양사 1명 당 약 111명, 조리사 1명 당 약 200명의 환자를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급종합병 원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업무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활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Lee et al. 2011; Hong & Lim 2014). 병원 종사원들은 일반 기업의 종사원들에 비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Hong et al. 2002) 등 병원 종사원들에 관한 부정적 영향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사원들의 생활의 질 연구(WRQLS)는 영국에서 처음으 로 개발되어, 싱가포르, 중국 등의 나라에서 연구(Sirisawasd et al. 2014)되었으며 동료관계에 의해서도 영향(Van et al. 2007)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원은 고객은 물론이며, 직장의 동료, 그리고 상사와의 관계에 의해서도 직무에 영향 을 받으며(Kim 2010). 생활의 질의 하위 요인으로 직무관련 변수가 포함(Kandasamy & Ancheri 2009; Lee 2009; Sirisawasd et al. 2014)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의 질 하위 요 인에 동료관계가 포함된 연구(Back 1993)도 있으며, 직무만 족과 동료 및 상사관계의 연구(Han & Kim 2012), 동료관계 가 부부관계(가족관계)에 미치는 연구(Lee 2002) 등 생활의 질과 동료관계의 관련성은 제시되고 있다.

    Lee(2009)에 의한 연구에서 동료들과의 과업수행에 영향 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합병원, 공공조직, 제조 업, 금융기관, 무역회사, 미용서비스업 등의 평균 8.8명의 194개 집단의 656명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동료들과의 과업 수행관계를 독립변수로 보지 않고 종속변수로 영향관계를 살 펴보았고, 응집력, 과업상호의존성, 의사소통, 다양성의 순서 로 동료들과의 과업수행단계에 영향을 주었다. Kim et al. (2014)의 연구에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는 동료관계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생활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생활의 질의 경우 WHO가 개발한 WHOQOL- 100의 간편화 WHOQOL-BREF척도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및 사회적 영역과 주 거환경의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동료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개인적 문제, 협조적, 경쟁적, 생각과 자료, 토론시간, 한가족 의사소통, 존중과 신뢰, 상호돕기, 상의하기 등의 9개 문항을 질문하였다.

    Choi & Seo(2013)에 의하면 보육교사개인이 동료관계에서 경험한 갈등으로 경력차이에 따른 위계질서, 미흡한 사회적 관계맺기 기술, 개인이 가진 가치관과 교육관의 차이, 비지 원적인 동료교사관계 등에서 오는 어려움이 있었다.

    Kanten & Sadullah(2012)에 의하면 터키의 대리석회사의 138명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고, 작업자의 생활의 질 은 합법화(Constitutionalism), 직무조건(Working Condition), 사회관련성과 직무중요성(Social relevance and importance of work), 보상(Compensation), 직무 점유(Work occupy), 능력 의 사용과 사회통합(Usage of capacity and social intergration) 으로 6개 요인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작업자의 생 활의 질과 직원몰입간의 영향관계가 있고 화이트 칼라 종사 원이 블루칼라 종사원보다 작업자의 생활의 질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Siriswasd et al.(2014)에 의하면 직무관련 생활의 질의 도 구를 태국어버전으로 번역하여 태국의 374명의 간호사를 대 상으로 도구의 내용 및 구성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작업자의 생활의 질 도구는 34개 항목의 7개 요인은 종사원 몰입 8항목, 직무 통제 5항목, 가정과 일 균형 5항목, 일반 웰빙 7항목, 직무와 경력 만족 2항목, 직무 조건 3항목, 업무 스트레스 4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병원 종사원대상 연구는 환자, 의사 및 간호사와 함께 영 양사, 조리사, 조리원들에 관한 연구도 다뤄져야한 부분이다. 병원들은 환자들의 기대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의료서비스 품 질 척도를 사용하는데(Rho et al. 2013), 도출된 변수들은 의 료진의 우수성, 최신기기 및 장비 등과 같은 실질적인 병원 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변수들 중 의료시설 및 환경, 입원 시 편리성, 합리적 의료비, 친절한 직원, 환경 의 우수성 등의 변수(Cho & Lee 2013; Rho et al. 2013) 들은 병원급식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탁급식운영 유형중 업무강도가 높은 병 원급식 종사원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고,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영양사, 조리사 및 조리원별 차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II.연구 내용 및 방법

    1.조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위탁급식 종사원중 업무강도가 높은 병원급식 종사원대상으로 동료관계가 종사원들의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중 협조가 가능한 3개 위탁급식운영기 업 4곳의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조리사 30부, 영양사 50 부, 조리원150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4곳의 병원 은 2015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상급종합병원 기준에 포 함된 4곳으로 진행하였다. 상급종합병원 지정 기준은 보건복 지부 관할하며 2013년 개정되었으며, 평가 항목으로는 질병 군 분류 및 비율 조정, 외래환자 구성 상태 기준 신설, 의료 서비스 수준 강화, 교육 연구 기능 평가 정립, 인력기준 조 정, 진료권역 분류 및 소요병상 배분 개선, 공익기능 평가지 표 신설, 중간점검 시행 등이 있다.

    설문조사는 2015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하였으며, 환자식, 직원식(일반식)을 구분하여 설문 을 하였다. 총 230부를 배포하였으며, SPSS의 데이터탐색을 통해 왜도와 첨도가 평균치를 상회하는 것과 극단치 및 이 상치로 판별된 것을 제거하여 총 177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보건복지부의 2015~2017년도 상급종합병원 지정소가 43 개임을 고려하면 상급종합병원 당 평균 영양사는 9명, 조리 사는 5명이다. 본 연구에 이용된 상급종합병원의 영양사(35 명) 및 조리사(19명)의 수는 거의 전수조사가 된 것을 의미 한다. 병원영양사의 관련요인을 연구한 Jang et al.(2014)의 연구에서도 상급종합병원 영양사 및 조리사의 수가 비슷하 게 나타났다.

    2.조사내용 및 분석방법

    설문지는 위탁급식 운영 병원급식종사원 대상으로 생활의 질 34문항, 동료관계 9문, 일반사항으로 구성되었다. Sirisawasd et al.(2014)의 연구를 바탕으로 직원몰입(employee engagement), 직무조절(Control at work), 가정-일 관계(Home-work interface), 직업 및 경력만족(Job and Career satisfaction), 직무환경 (Working condition), 직무스트레스(Stress at work), 일반적 행복(General Well-being)으로 총 7개 하위요인 총 34개 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료관계는 개인적 문제, 협력적, 경 쟁적, 생각과 자료, 토론시간, 한가족 의사소통, 존중과 신뢰, 상호돕기, 상의하기 등의 9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위탁급 식운영 병원급식종사원대상의 생활의 질과 동료관계는 5점 리커드 척도(1점: 매우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러하다)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내용을 빈도분석을 통하여 진행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를 통하여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생활 의 질과 동료관계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위탁급식운영 병원 급식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연구로서 병원급식 선행연구가 부재하므로 확인적인 요 인분석보다는 탐색적인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요인 들 간의 상호관련성과 인과관계를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 의 경로를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AMOS 18.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행하였다. 이에 영양사, 조리사, 조리 원들의 경로별 가설 채택 여부를 확인하였다. Amos를 활용 한 경로분석은 SPSS를 이용한 회귀분석의 결과와 같다고 볼 수 있다는 선행연구를 기반하여 진행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위탁급식 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위탁급식 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집단별 특성은 다음 과 같다<Table 1>.

    고용형태는 계약직(비정규직)이 120명(67.8%), 정직원이 57명(32.2%)로 나타났다. 근무부서는 환자식이 141명(79.7%), 직원식이 36명(20.3%)이며, 계약형태는 조리원이 123명 (69.5%), 영양사가 35명(19.8%), 조리사가 19명(10.7%) 순으 로 각각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성별은 남성이 20명(11.3%), 여성이 157 명(88.7%)로 남성에 비해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가 24명(13.6%), 30대는 26명(14.7%), 40대 12 명(36.8%), 50대 이상이 115명(6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 였다.

    학력은 고졸 이하가 83명(46.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 였으며, 전문대 졸업이 52명(29.4%), 대학교 졸업이 41명 (23.2%), 대학원 졸업이 1명(0.6%)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 부는 기혼이 126명(71.5%), 미혼이 51명(28.8%)으로 나타 났다.

    한 달 가족 수입은 2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이 63명 (35.6%)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200만원 미만이 49 명(27.7%), 600만원 이상~800만원 미만이 27명(15.3%), 400 만원 이상~600만원 미만이 24명(13.6%), 8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이 8명(4.5%), 1000만원 이상이 6명(3.4%) 순 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5년 미만이 95명(53.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5년 이상~10년 미만이 41명(23.2%), 10년 이상~20년 미만 37명(20.9%), 20년 이상이 4명(2.3%) 순으 로 나타났다.

    2.위탁급식 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생활의 질 및 동료관 계의 요인분석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생활의 질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34개 문항 중 27번 문항 ‘나는 나의 일을 하는 명확한 목표와 목적이 있다’는 설명력이 떨어지는 경향 을 보여 전체에서 제거하여 총 33개 문항을 분석에 사용하 였다.

    선행연구에서는 7개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나 직원몰입 (Employee engagement)과 직무조절(Control at work)의 문 항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으며, 직무환경(Working condition) 과 직업 및 경력만족(Job and Career satisfaction)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생 활의 질은 직원몰입, 직무조절, 직무환경, 가정-일관계, 일반 적 행복으로 총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직원몰입 8문항, 직무조절 5문항, 일 반적 행복 2문항이 같은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직무조절 5문 항은 ‘나는 일에 대해서 상사한테 조언 받을 기회가 있다’, ‘우리 회사는 내가 좋은 성과를 냈을 시 칭찬을 해줄 것이다’, ‘우리 회사는 직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제 공한다’, ‘나는 나의 의견을 말할 수 있고 작업환경에 변화 를 줄 수 있다’, ‘나는 회사에서 나에게 영향을 주는 결정들 에 관여하고 있다’로 제시되었으며, 일반적 행복 2문항은 ‘나 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격려 받는다’, ‘나는 나의 직장생활의 질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로 제시되었다.

    직원몰입의 신뢰도 값은 .941이 나왔으며, 직무스트레스는 .849, 가정-일 관계는 .849, 직무환경은 .811, 일반적 행복은 .821로 나타나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생활의 질의 측정 지표는 신뢰 수준이 인정되었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 식 종사원 생활의 질의 분산설명력은 직원몰입이 22.540%, 직무스트레스가 11.764, 가정-일 관계는 11.661, 직무환경은 9.267, 일반적 행복은 7.668로 나타나 총 62.901%를 보였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에 관한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9문항으로 총 2개 요인으로 나타 났다. 협력적인 동료관계는 신뢰도 값이 .775, 경쟁적 동료관 계는 신뢰도 값이 .714로 나타나 측정지표의 신뢰 수준이 인 정되었다. 동료관계 분산설명력은 지원적 동료관계가 29.886%, 경쟁적 동료관계가 25.776%로 나타나 총 분산설명력이 55.662%로 나타났다.

    3.위탁급식 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생활의 질 및 동료관 계의 상관관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도출된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 원의 생활의 질 변수 6개 요인과 동료관계 2개의 변수에 관 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원몰입은 가정-일 관계, 직무 환경, 일반적 행복, 협력적인 동료관계, 부정적 및 경쟁적 동 료관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에서는 가 정-일 관계와 일반적 행복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스트레스를 받으면 가정과의 관계, 일반적 행복이 감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무스트레스와 긍정적 동료 관계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직무로 인한 동 료들 간의 유대감 형성에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4.위탁급식 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 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직원몰입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 타났다(F=10.012, p< .000) 협력적 동료관계가 직원몰입에 영 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t=4.450, p> .000). 이는 호텔종사 원간의 관계요인을 연구한 Ji & Jang(2008)을 살펴보면 동 료간의 관계요인(공유가치, 기회주의, 의사소통)이 조직몰입 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 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F=14.711, p< .000) 협력 적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 났다(t=5.422, p< .000). 동료관계가 너무 좋으면 오히려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반적인 선행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내용이지만 직장인을 대 상으로 연구한 Lee(2002)의 결과를 살펴보면 기혼남성은 동 료관계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혼여성은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지 않았다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대상 중 여성이 약90%가 차지하므로 향후 성별에 따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동료관계가 가정-일 관계 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경쟁적 동료관계는 직무스트레스와 의 상관관계가 음(−)의 관계를 보였지만 결과적으로 유의하 지 않아 기각되었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동료 관계는 직무환경에 영향을 주었고(F=7.006, p< .001) 협력적 동료관계가 직무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3.711, p< .000). <Table 2>, <Table 3>, <Table 4>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동료관계는 일반적 행복 에 영향을 주었고(F=3.096, p<0.05) 협력적 동료관계가 일반 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2.471, p< .014). 이는 많은 선행연구과 같은 결과로써 Kim & Yoo(2004)는 동료관계가 좋을수록 이직의도를 떨어뜨린다고 했으며, Jung & Ah(2011)은 군대에서 동료들 간의 관계가 좋을수록 군대 적응 정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5.위탁급식 운영 병원급식 종사원 직군별의 동료관계가 생활 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 이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진행하고자 직군별로 살펴보 았다.

    첫 번째,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조리사는 협력적 동료관 계가 직원몰입(C.R.=1.24), 가정-일 관계(C.R.= .078), 직무환 경(C.R.= .1777), 일반적 행복(C.R.=1.149)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직무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C.R.=4.054). 경쟁적 동료관계는 직원몰 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C.R.=2.331), 가정- 일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C.R.=2.228). 경 쟁적 동료관계는 직무환경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고(C.R.=2.308), 일반적 행복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C.R.=2.166).

    두 번째,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영양사의 경로를 분석해 본 결과, 모든 경로에서 가설이 기각이 되었는데 이는 위탁 급식회사, 병원, 직급, 수입 등의 변수에 의한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조사대상 영양사의 수가 작아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조리원의 경로에 있어서 협력적 동료관계는 직원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고(C.R.=4.11). 직무스트레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C.R.=1.3), 가정-일 관계에는 정(+)의 영향 관계를 보였다(C.R.=2.246). 또한 직무환경에는 유의한 정(+) 의 영향관계를 보였으며(C.R.=3.725), 일반적 행복에도 유의 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C.R.=4.67). 경쟁적 동료관계 는 직원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직무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C.R,=2.000). 가정-일 관 계, 직무환경, 일반적 행복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영양사와 조리사는 협력적 동료관 계가 직원몰입, 가정-일 관계, 직무환경, 일반적 행복에 유의 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조리원의 경우는 유의하게 영 향(C.R=4.1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동료관계 는 조리사의 경우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나 영양사 와 조리원의 경우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는 정직원으로 구성된 조리사들이 회사 내에서도 경쟁 구도를 보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조리사의 경우는 협력적 동료관계 가 가정-일 관계, 직무환경, 일반적 행복에 각각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리원의 경우는 모두 채택되었 다. 조리원들 간의 협력적 동료관계는 다른 직군에 비해 중 점적으로 다뤄져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사는 경쟁적인 동료관계가 직원몰입, 가정-일 관계, 직 무환경, 일반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나 영양사와 조리원의 경 우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영양사와 조리사는 경쟁적 인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조 리원에게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조리원의 업무가 조리 사와 영양사와 비해 함께하는 업무가 많으므로 경쟁적인 동 료관계는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이 되었다.

    IV.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들을 대상으로 동료관계와 생활의 질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의 주 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생 활의 질 33개 문항을 요인분석 실시하여 위탁급식운영 병원 급식종사원들의 생활의 질은 직원몰입, 직무조절, 직무환경, 가정-일 관계, 직원 및 경력만족으로 총 5개 요인으로 구분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7개 요인으로 제시되었으나 직 원몰입(Employee engagement)과 직무조절(Control at work) 의 문항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으며, 직무환경(Working condition)과 직업 및 경력만족(Job and Career satisfaction) 이 같은 성분으로 구분되었다. 병원위탁급식 종사원들의 동 료관계에 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9문항 중 협력 적인 동료관계와 경쟁적인 동료관계로 분류되었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들의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협력적 동료관계가 직원몰입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 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가 직무스 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관계가 가정-일 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력적인 동 료관계가 직무환경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협 력적인 동료관계를 통해 생성된 심리적 안전감이 직무환경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동료관계가 일반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협력적인 동료관계 가 일반적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종사원의 직군별(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로 동료관계가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 과, 첫 번째,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조리사의 경우 협력적 인 동료관계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원몰입, 가정-일 관계, 직무환경, 일반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경쟁적 동료관계는 직 원몰입, 가정-일 관계, 직무환경 및 일반적 행복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영양사는 모든 경로에서 기각이 되었다. 본 연구는 협조가 가능한 3개 기업 4곳의 수 도권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진행하여 비교적 표본 선 정에 대한 비교적 표본선정에 노력하였으나, 병원별로 입원 병실의 수에 따른 업무의 강도 및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병원의 규모 및 인구 통계학적인 변수들을 세분화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4곳의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영양사를 전수조사를 했지만, 워 낙 모집단의 규모가 작아서 표본 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나 타나지 않은 것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영양사의 표본은 100% 여성임을 감안하여, 향후 성별에 따른 분석도 필요하 다고 사료된다.

    세 번째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조리사와 조리원의 경우 는 경로의 채택 및 기각이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조리사는 협력적인 동료관계가 직원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조 리원의 경우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 력적인 동료관계가 조리사의 경우는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직원으로 구성된 조리사들 이 회사 내에서도 경쟁 구도를 보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조 리사의 경우는 협력적인 동료관계가 가정-일 관계, 직무환경, 일반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리 원의 경우는 모두 채택되었다. 조리원대상의 협력적 동료관 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경쟁적 동료관계에 있어서 는 조리사는 직원몰입, 가정-일 관계, 직무환경, 일반적 행복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급식운영 병원급식 은 동료관계와 삶의 질을 관리하여 종사원들의 만족을 높여 야 하고, 지나친 업무로 인하여 동료관계 및 삶의 질이 저하 되는 것은 급식품질저하 및 고객만족에까지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치므로 업무가 과중되지 않도록 적정 인력이 배치되어 야한다. 또한 직군별로는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들에 알맞은 복리후생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서울·경기 지역의 상급 종합병원만을 대상으로 진행한 점과 협조가 가능한 병원의 편의표본추출을 한 점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3학년도 경기대학교 학술연구비(일반연구과 제)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Figure

    Tabl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gression analysis of Quality of Work Life and Co-worker relationship

    1)Cooperative Co-worker relationship
    2)Competitive co-worker relationship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quality of Work life and co-worker relationship

    Correlation Analysis of Quality of Work Life and Co-worker relationship

    * p<0.05
    * p<0.01
    *** p<0.001
    1)Cooperative Co-worker relationship
    2)Competitive co-worker relationship

    Regression analysis by Job Group

    *p<0.05
    **p<0.01
    ***p<0.001
    1)Cooperative Co-worker relationship
    2)Competitive co-worker relationship

    Reference

    1. Byeon KW (2010)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OS, TMX and Customer Orientation for Ski School Lecturer Organization Trust, Co-Work Trus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as Mediating Variables , Korean. J. Sport Manag, Vol.15 (6) ; pp.67-82
    2. Cho CH , Lee EJ (2013) An Emergency Medical Service Quality on Patients’ Value,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 Conference of 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 pp.215-230
    3. Choi MM , Seo YS (2013) Teacher-Teacher Conflicts in Childcare Centers Causes and Process of Resolution , Korean. J. Child, Vol.9 (1) ; pp.221-239
    4. Darren VL , Edwards JA , Easton S (2007) The Work-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for Healthcare Workers , J. Adv. Nurs, Vol.60 (3) ; pp.325-333
    5. Han JY , Kim PS (2012) The Effect on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by Job Satisfaction : based on Dae-gu City’s local public Enterprises , Korean. J. Bus. Adm, Vol.25 (5) ; pp. 2317-2340
    6. Hong KJ , Kang HS , Tak YR , Kim KS , Park HR , Kwak WH , Kim JE , Choi Jr (2002)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health of women who work in the professional job nurses and teachers , J. Korean Acad. Nurs, Vol.32 (4) ; pp.570- 579
    7. Hong YK , Lim WK (2014) Effects of the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Workers on Retirement Preparation , J. Digit. Converg, Vol.12 (11) ; pp. 33-48
    8. (2015) Hyundai green food system audit report,
    9. Jeong WC , Ah YA (2011) Study explored whether soldiers` relationship with their peer and superior moderated the sensation seeking and adaptation of military service , Ment. Health & Soc. Work, Vol.37 ; pp.382-404
    10. Kandasamy I , Ancheri S (2009) Hotel employees’ expectation of QWL A qualitative study , Int. J. Hosp. Manag, Vol.28 ; pp.328-337
    11. Kanten S , Sadullah O (2012) An empirical research on relationship quality of work life and work engagement , Procedia, Vol.62 ; pp.360-366
    12. Kim EJ , Yoo TY (2004) The Effect of Job-related Variables and Personality Traits on Turnover Intention of Service Employees in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 Korean. J. Ind. Organ. Psychol, Vol.17 (3) ; pp.355-373
    13. Kim IW (2010) The Effect of the TMX, CMX, LMX on the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Restaurant Staff , Foodser. Ind. J, Vol.6 (2) ; pp.137-164
    14. Kim KS , Ko KM , Kim KS (2014) Structural model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work environments and work satisfaction onthe quality of work life of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 The. J. Korea open Associ. for Child. Educ, Vol.19 (1) ; pp.251-268
    15. Lee HS (2002) Relationships among Work Stress, Coworker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rital Stress , J. Fam. Relat, Vol.7 (3) ; pp.41-53
    16. Lee JY (2009) Determinants of Working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 J. Hum. Resour. Manag. Res, Vol.16 (2) ; pp.179-195
    17. Lee YI , Park EY , Hong JY (2011)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Occupational Stres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 , Korean. J. Vis. Impair, Vol.27 (3) ; pp. 33-51
    18. Rho MJ , Suh WS , Kwon J (2013) Medical Service Factor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 J. Digit. Converg, Vol.11 (2) ; pp. 331-339
    19. Seo BI , Back YS (1993) A Study on the QWL Components in Korean Enterprises , Korean Manag. Rev, Vol.23 (1) ; pp. 261-308
    20. Sirisawasd P , Chaiear N , Johns NP (2014) Validation of the Thai Version of a Work-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in the Nursing Profession , Saf. Health Work, Vol.5 (2) ; pp. 80-85
    2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Available from :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HIRA4A&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