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5-7060(Print)
ISSN : 2288-7148(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36 No.1 pp.130-142
DOI : https://doi.org/10.7318/KJFC/2021.36.1.130

Inhibitory Effect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nd HepG2 Cells

SukJin Kim, Gun-Hee Kim*
Department of Bio-Health Convergence Major, Duksung Wome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Gun-Hee Kim, Department of Bio-Health Convergence Major, Duksung Women’s University, 33 Samyang-ro 144-gil, Dobong-gu, Seoul, Korea Tel: +82-2-901-8496 Fax: +82-2-901-8668 E-mail: ghkim@duksung.ac.kr
January 21, 2021 February 25, 2021 February 28, 202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tive and lipid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3T3-L1 and HepG2 cells.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PC and TFC) of 14 plant extracts were measured,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DPPH, ABTS, FRAP, and ORAC. After measuring the pancreatic lipase levels and performing the thiobarbituric acid assay, the degree of lipid accumulation was determined by lipid (Oil 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assay in 3T3-L1 and HepG2 cells. M. paniculate (259.43 mgGAE/g) and C. benghalensis (130.78 mgNAE/g) had the highest TPC and TFC, respectively, among the 14 plants. R. acicularis Lindl.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n DPPH. The ABTS, FRAP, and ORAC results show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11 spec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The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effect of C. angustifoliumScop. was reduced to 23.65% at 0.1 mg/mL, and the level of lipid peroxidation of C. abrorescens Lam. was 0.63 nmol/mg. Five selected plants inhibited the lipid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content, respectively, in 3T3-L1 and HepG2 cells. These results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using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which have antioxidant activities and lipid accumulation reduction effects.



몽골과 미얀마 식물 14종의 3T3-L1 및 HepG2 세포에서 지질 축적 억제효과

김 숙진, 김 건희*
덕성여자대학교 바이오헬스융합학과

초록


    I. 서 론

    동아시아 국가인 몽골과 미얀마는 대륙성 기후로 일교차 와 연교차가 크기 때문에 기후 저항성 및 각종 환경 재해 저 항성을 지닌 다양한 식물이 서식한다(DeFilipps & Krupnick 2018;Urgamal et al. 2018). 천연물은 주어진 환경과 지역 에 따라 그 종이 다르며 고유한 생리활성 물질을 갖고 있어 천연물로부터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 기능성 물질 이용에 대한 연구가 가중되고 있다(Sorokina & Steinbeck 2020). 하지만 인간의 접근이 비교적 덜 된 곳에서 서식하는 두 국 가의 식물 자원 이용은 제한적이었으며 특히 몽골과 미얀마 는 세계에서 사막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로 천 연자원의 보호 및 이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 다(Sternberg et al. 2011;Kang 2012;Choi et al. 2014). 두 국가의 식물 중 Rosa acicularis Lindl.과 Caragana arborescens Lam. 은 종자번식이 용이하여 일찍이 재배작물 화 되었으며 Cordia myxa L.는 가뭄 저항력이 높아 건조지 역에서 재배 효율이 높다고 보고되었다(Lewis 1959;Werkhoven & Salisbury 1966;Meghwal et al. 2014). Odontuya (2016)에 따르면 Dasiphora fruticosa Rydb.는 quercetin glycosides 및 gallic acid 등 35개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Biernasiuk et al. (2015)에 따르면 Sanguisorba officinalis L.는 ellagic, vanillic 및 ferulic acids 등 15종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 다고 보고되었다. 이 외에도 Cotoneaster melanocarpa Lodd., Chamaenerion angustifolium Scop., Ribes altissimum Turcz., Glochidion sphaerogynum Kurz, Careaya arborea Roxb, Microcos paniculate, Mangifera caloneura Kurz, Calamus arborescens Griff. 및 Commelin abenghalensis 등 재배학적 연구가 발달하여 종의 유지에 문제가 없으며, 앞으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은 14종을 선정하 였다.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신체에서 에 너지 생산을 위한 산화과정 중에 생성되는 부산물로, 호흡 시 체내에 유입되는 산소의 2-3%는 활성 산소가 된다(Li et al. 2016). 적절한 수준의 활성산소는 세포의 신호 전달, 세 포의 성장 및 분화에 작용하지만 과생성시에는 세포 구조와 신호전달에 영향을 미쳐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Breitenbach & Eckl 2015). 이는 비만, 지방간, 당뇨병, 뇌 졸증, 세포 노화 및 골다공증 등 많은 질병에 관여한다. 따 라서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 산소인 superoxide anion radical (O2·), singlet oxygen (1O2), hydrogen peroxide (H2O2) 및 hydroxyl radical (OH) 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 고 각종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식물 유래 천연 항산화제 섭 취를 통한 체내 항산화 방어 시스템 향상이 필요하다 (Blokhina et al. 2003).

    비만은 오랜 기간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과도한 에너지를 섭취하며 신체활동 감소와 같은 에너지 불균형으로 인해 체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상태이다(Apovian 2016). 지방세 포 분화과정에서 ROS의 과도한 생성은 세포 내 산화 스트 레스를 유발하며 이로 인한 단백질 변성 및 DNA 변이 등을 유발시키는 주요원인이 된다(Okuno et al. 2018). Lipoprotein lipase (LPL) 및 pancreatic lipase 등의 지방분해효소는 중성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하여 지방산을 세포 내로 유입시킨다(Wang & Eckel 2019). 에너지대사를 통해 소진 되지 못한 지방산은 지방조직에 중성지방으로 전환되어 저 장된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를 통해 지방 분해 효소 억제를 통해 지방 분화를 감소시키는 것은 비만에 있어서 효율적인 기전으로 연구되고 있다.

    한편, 비만, 당뇨병 및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증후군에 의 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과량 분비되면 인슐린 저항성과 이상지질혈증이 발생한다. 이 과정 중에 산화스트레스가 분 비되어 비알콜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acid liver)을 일 으킨다(Yang et al. 2019). 간에 중성지질(Triglyceride, TG) 이 과도하게 축적될 경우 활성형 유리지방산 대사산물인 지 질 과산화물이 축적되어 간에 손상을 일으키고, 활성 산소를 유발하여 간조직의 섬유화, 간암 등의 다양한 간 기능 장애 와 질병을 일으킨다(Benedict & Zhang 2017). Abenavoli et al. (2017)에 따르면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산화스 트레스 억제 효과에 의해 지방세포 및 간세포에서 지질 축적 억제, 비알콜성 지방 간의 조직학적 호전이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몽골 및 미얀마산 식물 14종에 대 하여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이에 따른 항산화 활 성을 분석하였다. 췌장 지질분해효소 및 지질 과산화물 억제 효과를 확인 후 3T3-L1 및 HepG2 세포에서의 지질 축적률 억제 효과를 검증하고 천연물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 식품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II. 연구내용 및 방법

    1. 실험재료

    세포 배양에 사용되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 및 fetal bovine serum (FBS)는 Welgene (Welgene, Daegu, Korea)에서 구입하였다. 2,2'-Azobis(2- amidinopropane)dihydrochloride (AAPH),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2,2′-Azino-bis(3-ethyl 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dimethyl sulfoxide (DMSO) 및 3-(4,5-dimethylthiazol-2-yl)-2,5-dimethyl tetrazolium bromide (MTT) 등 그 외 모든 시약은 Sigma- Aldrich (Sigma-Aldrich, MO,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2. 시료 준비

    본 실험에 사용된 몽골 및 미얀마 식물 추출물 14종은 해 외생물소재센터(IBMRC; International Biological Material Research Center, Daejeon, Korea)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 였으며, <Table 1>에 제시하였다. 제공받은 14종의 식물 추 출물들은 식물의 전체 부위를 이용하여 메탄올 주정 추출되 었으며 100 mg/mL 농도로 DMSO에 용해하여 stock한 뒤, −70°C에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3.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 였다(Pavel et al. 2006). 50 μL 시료와 50 μL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을 실온에서 3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2% sodium carbonate (Na2CO3) 용액 150 μL를 첨가하여 암실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plate reader (Model 680, Bio-Rad Laboratories, In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 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 equivalent (GAE)를 이용한 검량 곡선으로부터 정량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Gurnani et al. (2018)의 방법에 따라 20 μL 시료, 200 μL diethylene glycol과 20 μL의 1 N NaOH를 첨가하여 37°C,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의 흡광 도를 420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aringin equivalent (NAE)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4.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은 Wahyono et al. (2020)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각 추출물을 농도 별(0.05, 0.1, 0.5, 1.0 및 2.0 mg/mL)로 희석한 50 μL의 시료와 150 μL의 0.3 mM DPPH를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 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시료 무첨가구에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 활성이 50%인 IC50 (mg/mL) 값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결정하였다.

    5.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은 Wahyono et al. (2020)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7.4 mM ABTS와 2.6 mM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고 암실에서 24시간 반응시킨 후, 이를 734 nm에서 흡광도가 0.7±0.02가 되도록 PBS로 희석하여 ABTS solution을 사용하였다. 0.05, 0.1, 0.5, 1.0 및 2.0 mg/mL로 희석한 시료 20 μL에 180 μL ABTS solution를 첨가하여 암소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후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radical 소거능을 IC50 (mg/mL) 값으로 나타냈으며 ascorbic acid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6. FRAP assay

    FRAP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Wahyono et al. (2020)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FRAP 기질액은 0.3 mM sodium acetate buffer (pH 3.6), 10 mM TPTZ (2,4,6- tripyridyl-s-triazine) 및 20 mM ferric chloride를 10:1:1 (v/ v/v)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50 μL 시료와 150 μL FRAP 기질액을 혼합하여 암소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errous sulfate를 표준 물질로 한 표준 검량선을 통해 정량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7. ORAC assay

    몽골 및 미얀마 식물 추출물의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측정은 Wahyono et al. (2020)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25 μL의 시료 또는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에 150 μL의 40 nM fluorescein를 첨가하여 37°C에서 3분간 교반 후,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25 μL 150 mM AAPH를 첨가한 뒤 형광 광도계(Tecan Infinite M200, San Jose, CA, USA)를 이용하여 90분 동안 3분 간 격으로 측정하였다. 형광 광도계의 excitation와 emission은 각각 485 nm 및 520 nm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시 료 무첨가구와 첨가구의 area under curve (AUC) 값을 각 각 계산한 후, 표준물질인 trolox equivalent (TE)로 구한 표 준 검량 곡선에 대입하여 정량하였다.

    8.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측정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측정은 Lim et al. (2014)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Enzyme buffer (10 mM MOPS, 1 mM EDTA, pH 6.8)에 porcine pancreatic lipase 를 2.5 mg/mL로 용해 후 4°C, 4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시료 20 μL, enzyme buffer 6 μL와 169 μL Tris buffer (100 mM Tris-HCl, 5 mM CaCl2, pH 7.0)를 혼합하여 37°C에서 15분간 반응시켰 다. 이후 반응액에 10 mM p-nitriphenyl butyrate 5 μL을 첨 가하여 37°C에서 30분 동안 shaking incubation 시켰다. 흡 광도를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 은 시료의 첨가 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냈고 양성대조군은 quercetin을 이용하였다.

    9. TBA assay

    몽골 및 미얀마 식물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물 측정은 Dissanayake et al. (2009)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0.1 mg/mL 시료와 10 mM linolenic acid를 혼합 후 37°C에 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0.05M H2O2와 0.05M FeSO4를 첨가하여 37°C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0.4% TBA를 첨가하여 95°C water bath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 다. 그 후 butanol 500 μL을 첨가하고 1,000×g, 10분 원심 분리 후 상등액을 흡광도를 532 nm에서 측정하였다. 지질 과 산화 억제능은 표준물질인 malondialdehyde (MDA)를 이용 하여 정량하고 양성대조군은 quercetin을 이용하였다.

    10. 3T3-L1 및 HepG2 세포 배양 및 분화

    지방 전구 세포 3T3-L1 및 인간 간암 세포 주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세포는 한국세 포주은행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으며, 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Um & Kim 2016). 3T3-L1 세포 분화를 위해 6 well plate에 1×105 cells/mL로 seeding 후 세포를 confluent하게 배양했다. 완전히 꽉 찬 3T3-L1 세포에 분화 유도 물질인 MDI (0.5 Mm IBMX 3- isobutyl-1-methylxanthine, 1 μM DEX 및 1 μg/mL insulin) 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0일차)하였 다. 각각 배양 2일, 4일 차에는 1 μg/mL insulin만 포함된 배지로 교환하였다. 0, 2, 4일차 세포에 유도 배지와 0.1 mg/mL 농도의 추출물을 같이 처리하였다. 2일에 한 번씩 8 일 동안 DMEM 배지로 갈아주면서 분화를 유도하였다. HepG2 세포 분화를 위해 6 well plate에 1×105 cells/mL로 seeding 후 세포를24시간 배양했다. 배양된 HepG2 세포에 분화 유도 물질인 oleic acid (OA)를 60 μM와 시료 0.1 m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반응시켰다.

    11. MTT assay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세포 내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이용해 3T3-L1 및 HepG2 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Ahn et al. 2015). 배양시킨 3T3-L1 및 HepG2 세포를 2×104 cells/well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37°C,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각 well 에 시료(0.1, 0.2 및 0.4 mg/mL)를 첨가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PBS에 녹인 MTT (5 mg/mL) 용액을 각 20 μL/well씩 처리한 후, 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생성된 formazan 결정을 용해하기 위해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를 100 μL/well에 첨가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다음 식으로 산출하였다.

    Cell viability (%)=B/A×100

    • A: control의 흡광도 B: 시료 처리 세포의 흡광도

    12. Oil red O staining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이 3T3-L1 및 HepG2 세포에서 지질 축적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Oil Red O (ORO) 염색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Kim & Kim 2020). 분화 유 도된 3T3-L1 및 HepG2 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척하였다. 3.7% formaldehyde를 첨가하여 15분간 세 포 고정시킨 후, 용액을 제거하고 60% isopropanol로 3번 세척하였다. ORO 염색약은 증류수와 6:4로 혼합한 후 0.2 μm filter 로 2번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각 well에 ORO 용 액을 첨가하여 30분간 염색 후 증류수로 3번 세척하였다. 염 색된 세포 내 지방구는 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2-propanol을 첨가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quercetin를 양 성대조군으로 사용했다.

    13. Triglyceride assay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이 3T3-L1 및 HepG2 세포에서 중성 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Triglyceride-S kit (Asan Pharm. Co., Ltd.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 다. 분화 유도된 3T3-L1 및 HepG2 세포는 PBS로 3회 세 척하고, scraper로 회수 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pellet에 lysis buffer (Tris-EDTA buffer) 를 첨가하여 4°C, 12,000 rpm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회수한 상층액 80 μL에 enzyme buffer solution 120 μL를 첨가하여 37°C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 였다. 양성대조군으로 quercetin을 사용하였으며 단백질 농도 는 BCA 방법에 의해 정량 하였다(Walker 1994).

    14. 통계처리

    본 실험은 모두 3회 이상 반복 실시하였으며 측정된 값은 SPSS program (ver. 19.0, SPSS Inc., Chicago, USA)의 ANOVA를 실시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각 평 균에 대한 사후 검정을 통해 p<0.05 수준에서 유의차 검정 을 실시하였다.

    III. 결과 및 고찰

    1.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 드 함량을 정량한 결과는 <Table 1>에 나타냈다. 메탄올 주 정 추출 시, 유효성분이 가장 많이 추출된다는 Truong et al. (2019)의 보고에 따라 본 논문에서 식물 14종의 메탄올 추출 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식물의 페놀 화합물들은 항산화 효 능을 통한 고혈압, 비만 심혈관계질환 예방 등의 다양한 건 강기능 증진 효과가 보고되었다(Young & Woodside 2001). 총 폴리페놀 함량은 M. paniculate (259.43 mgGAE/g)>M. caloneura Kurz (200.78 mgGAE/g)>G. sphaerogynum Kurz (180.57 mgGAE/g)>C. benghalensis (171.83 mgGAE/g) 순 으로 높게 나타났다<Table 1>. M. caloneura Kurz가 속한 Mangifera 속은 ellagic acid, gallic acid 및 quinic acid 등 많은 종류의 폴리페놀을 함유한다고 보고되었으며 본 논문 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다(Melo et al. 2019). 또한 M. caesia, M. quadrifidaM. odoraia indica의 폴리페놀 함량이 각각 69.11, 72.74 및 31.06 mgGAE/g으로 보고된 것에 비해 본 논문의 M. paniculate, M. caloneura Kurz 및 G. sphaerogynum Kurz 등에서 3배 이상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튀니지 식물의 높은 항산화 효능이 나타날 것으로 추측된다(Amalina et al. 2019).

    플라보노이드는 폴리페놀과 마찬가지로 지질 과산화물 억 제, 글루타티온 환원 효소등의 활성에 따라 산화스트레스를 제거하여 항산화 효능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균, 항비만 및 항염증 등의 효과가 보고되었다(Williamson et al. 2018). 식물 14종 중에서 C. benghalensis (130.79 mgNAE/g)>G. sphaerogynum Kurz (129.84 mgNAE/g)>S. officinalis L. (109.52 mgNAE/g) 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 타났으며 C. abrorescens Lam.은 22.94 mgNAE/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Table 1>.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C. abrorescens Lam.이 속한 Caragana 속은 gallic acid, luteolin, isoorientin 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지니며 특히 C. sinica은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의한 높은 항산화 효 능과 항당뇨 및 항비만 효과가 보고되었다(Jeon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발표된 C. sinica 종 보다 C. abrorescens Lam.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 고 나머지 13종의 식물 모두 C. abrorescens Lam. 보다 최 소 2배 이상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 드 함량 결과로 이후 실험에서 항산화 효능과 지질 과산화 억제 효능이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 종 중 폴리페놀 함량은 M. paniculata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 benghalensis에서 제일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폴리페놀을 중 비플라보노이드인 ellagic acid, hydroxy benzoic acid 및 hydroxycinnamic acid 등과 그 유도체인 stilbene, phenolic alcohol 등의 함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GutiErrez-Grijalva et al. 2016).

    2.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항산화 활성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항산화 활성을 DPPH, ABTS, FRAP 및 ORAC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Table 2>에 나타냈다. DPPH는 비교적 안정한 free radical로 폴리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들로부터 수소 나 전자를 받아 환원될 때 보라색이 탈색되어지는 원리를 이 용하며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항산화능을 측정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Karadag et al. 2009).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50 값은 14종 중 11종이 150 μg/mL 이 하의 값을 나타냈으며 R. acicularis Lindl. (124.02 μg/mL), S. officinalis L. (126.35 μg/mL), M. caloneura Kurz (128.33 μg/mL) 및 C. angustifolium Scop. (133.05 μg/mL) 순으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Table 2>. 몽골 및 미 얀마 식물 14종에 비해 양성대조구인 ascorbic acid의 IC50 값은 47.86 μg/mL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D' Angiolillo et al. (2018)R. acicularis Lindl. 가 속한 Rubus 속의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 IC50 값이 R. canina (266.9 μg/ mL), R. corymbifera (181.5 μg/mL), R. micrantha (191.8 mg/mL)과 R. sempervirens L. (259.6 μg/mL)로 높은 항산 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이 낮을수록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적었던 C. arborescens Lam. 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낮은 것 으로 나타났으므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가 시료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 되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 방법이다(Karadag et al. 2009).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 성의 IC50 값은 C. arborea Roxb. 및 M. caloneura Kurz 에서 54 μ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4종의 IC50 값 평 균은 93.36 μg/mL로 나타났다<Table 2>. 양성 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IC50 값은 76.41 μg/mL로 ABTS 라디칼 소 거 활성이 ascorbic acid보다 높은 식물 11종이 DPPH 라디 칼 소거능에서 IC50 값이 150 μg/mL 이하로 활성이 높았던 11종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Wadje et al. (2019)C. arborea Roxb.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용매 별 petroleumether, chloroform 및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각 각 159.26, 128.82 및 117.54 μg/mL로, ABTS 라디칼 소거 능이 높게 나타난 시료가 다른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도 높 은 항산화 효과를 지닌다고 보고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C. arborea Roxb. 와는 추출 용매, 온도 등의 영향으로 각 연구 결과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Fe2+는 hydroxyl radical (-OH)과 superoxide radical (O2−) 등의 생성을 촉진하며, 이러한 금속이온인자에 대한 chelating 활성이 높을수록 산화반응에 촉매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된다(Karadag et al. 2009). 몽 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FRAP 라디칼 소거 활성은 평균 391.04 μmol FeSO4/g로 D. fruticose rydb. (437.35 μmol FeSO4/g)가 가장 높은 FRAP 환원력을 보였다. 14종 중 C. abrorescens Lam. (145.28 μmolFeSO4/g)와 C. myxa L. (284.42 μmolFeSO4/g)를 제외한 12종이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312.79 μmolFeSO4/g)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 을 나타내 금속이온에 대한 뛰어난 chelating 활성을 확인하 였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양성대조군보다 낮았 던 R. altissimum Turcz. 가 FRAP 라디칼 소거능이 양성대 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보아, R. altissimum Turcz. 가 free radical을 소거능은 낮지만 금속이온 환원력은 높다고 판단된 다(Shah & Modi 2015). D. fruticosa Rydb.가 속한 Dasiphora 속의 D. fruticosa L.는 tannin (10.68%), flavonoids (4.37%) 및 rutin (0.79%)로 많은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한다 고 보고되었다(Liu et al. 2016). 또한 Pearson 상관관계 분 석결과 폴리페놀 함량과 FRAP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 였다. 본 연구 결과 총 페놀 함량이 가장 적은 C. arborescens Lam.의 FRAP 항산화 활성이 가장 낮게 측정되어, 각 시료 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 고와 일치하였다.

    ORAC assay는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peroxyl radical 에 의해 손상되어 발색되는 형광 값을 측정하여 시료의 항 산화능을 측정하는 실험 방법이다(Karadag et al. 2009). 몽 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ORAC value를 측정한 결과 C. arborea Roxb. (3.55 mmolTE/g), G. sphaerogynum Kurz (3.34 mmolTE/g), C. benghalensis (3.31 mmolTE/g), M. caloneura Kurz (3.20 mmolTE/g) 및 D. fruticose rydb. (3.12 mmolTE/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1.45 mmolTE/g)보다 12종의 식물이 높은 ORAC 항산화능을 나타내 DPPH와 달리 12종의 식물이 장 시간 반응에 의한 항산화 효과가 높다고 판단된다. Morales et al. (2017)의 보고에 따르면 M. caloneura Kurz가 속한 Mangifera 종 추출물들의 ORAC 활성을 측정한 결과 ORAC value가 0.01-0.2 mmolTE/g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본 논문의 몽골 및 미얀마 식물 5종의 ORAC 평균은 2.75 mmolTE/g으로 나타나 항산화 효과가 높은 천연 자원으로 유 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던 C. benghalensis의 ORAC value는 3.31 mmolTE/g 으로 가장 높지 않았으며 다른 종도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다 른 ORAC value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ORAC value에 플 라보노이드 뿐만 아니라 비플라보노이드 역시 영향을 미친 다는 Madrigal-Carballod et al. (2009)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본 논문의 DPPH, ABTS, FRAP 및 ORAC assay 항산화 실험결과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 을 확인하였다.

    3.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Pancreatic lipase는 triacylglycerol의 에스테르 결합을 을 2-monoacylglycerol과 fatty acid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흡 수된 지방산은 소장 상피 세포에서 중성지방으로 재합성되 어 지방조직, 근육 등에서 사용된다(Liu et al. 2020). 사용 후 남은 중성지방은 각 조직에 축적되는데 이때 지방의 축 적이 과도하면 비만을 초래한다. Panc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하면 triacylglycerol의 분해가 감소하여 지방이 체내에 소화, 흡수되지 않게 함으로 지방의 축적을 막을 수 있다. Quercetin은 항산화 활성이 높은 플라보노이드로 중성 지방 을 분해하는 pancreatic lipase에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불 활성화 시킴으로써 항비만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어 본 논문 에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Park et al. 2019). 본 실험에 서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0.1 mg/mL 농도의 시료에서 C. angustifolium Scop. (23.65%), D. fruticosa Rydb. (21.33%), M. caloneura Kurz (21.31%), C. arborescens Griff. (20.16%), G. sphaerogynum Kurz (18.23%) 순으로 높은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확인하 였으며 C. abrorescens Lam.에서는 저해 활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Table 3>. 양성대조군으로 쓰인 quercetin의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16.05%로,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 중 7종이 quercetin보다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Buchholz & Melzig (2015)에 따르면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이에 따른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이 상관관계가 높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DPPH, ABTS, FRAP 및 ORAC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다른 12종보다 2 배 이상 항산화능이 낮았던 C. abrorescens Lam.과 C. myxa L. 종의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이 항산화 활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 억제 활성

    지질 과산화는 조직 내 ROS 발생으로 인한 인지질 막 내 불포화 지방산의 수소를 탈취함으로써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ation)의 연쇄반응이 진행되고, 최종 부산물로 Malondialdehyde (MDA) 등의 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한다 (Morita et al. 2012). 지질 과산화물은 간세포 손상 및 단백 질 변화 등을 통한 간독성을 일으키며, 간세포 지질의 alkyl 기 또는 간세포 핵의 DNA와 결합하여 괴사를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Poli et al. 1987). 이에 본실험에서는 시료의 지 질 과산화물 함량을 linoleic acid를 이용한 TBA 방법으로 MDA값에 정량하여 <Table 3>에 나타냈으며 직접적으로 유 리 라디칼을 제거하여 지질 과산화물 억제 활성을 지니는 quercetin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Kumar et al. 2003). 결과, C. abrorescens Lam. (0.63 nmol/mg)<C. angustifolium Scop. (0.71 nmol/mg)<R. acicularis Lindl. (0.74 nmol/mg) )<S. officinalis L. (0.75 nmol/mg)<C. arborescens Griff. (0.77 nmol/mg) 순으로 낮은 지질 과산화물 함량을 보였으며 14종 평균 0.85 nmol/mg로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으로 쓰인 quercetin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은 0.72 nmol/mg로,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 중 5종이 quercetin과 유의적으로 차이 나 지 않는 지질 과산화물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본 연 구에서 식물 14종 중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지닌 M. paniculate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이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 했지만, 0.95 nmol/mg으로 양성대조군보다 높은 지질 과산화 물 함량을 보였다. 이는 Niki et al. (2005)에 보고된 바와 같이 식물의 폴리페놀 이외에 당단백질, 지방산 및 단백질 효소 등의 성분이 지질 과산화물 생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 으로 판단된다.

    5.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세포 독성 평가

    몽골 및 미얀마 식물에 의한 3T3-L1 및 HepG2 세포의 생존율을 <Figure 1>에 나타냈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활 성을 통해 선별한 몽골 및 미얀마 식물 5종의 3T3-L1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M. caloneura Kurz를 제외한 다른 시료는 0.2 mg/mL에서 세포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Figure 1A>. 지질 과 산화물 함량 측정을 통해 선정한 몽골 및 미얀마 식물 5종 의 HepG2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세 포에 비해 R. acicularis Lindl.과 C. arborescens Lam.은 0.4 mg/mL에서 나머지 시료는 0.2 mg/mL에서 유의적인 세 포 생존율 감소를 보였다<Figure 1B>. Tomczyk et al. (2013)에 따르면 D. fruticosa Rydb.가 0.1 mg/mL 농도에서 인간 대장 섬유 아세포인 CCD-18Co와 인간유래 상피 세포 인 CCD 841 CoTr의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결장장 애 예방 효과를 지닌다고 보고하였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포 생존율과 활성을 고려하여 이하 모든 세포 실험에서 시 료를 0.1 mg/mL 농도로 사용하였다.

    6.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3T3-L1 세포에서 지질 축적 및 중 성지방 함량 억제 효과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3T3-L1 지방 세포에서 지질축적억 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DI를 이용하여 지방 분화를 유 도 후 ORO 염색법으로 평가하였다.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 중 pancreatic lipase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5종을 선 별하여 지질 축적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ORO 염색 시약은 세포 내 지질에만 결합하여 붉은색을 나타낸다(Kraus et al. 2016). 분화된 3T3-L1 세포를 ORO 염색하고 현미경을 통해 관찰 후 2-propanol로 염색된 지방구를 추출하여 정량하였다 (Fig. 2A-B). 결과, 현미경을 통해 MDI만 처리한 세포는 MDI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지방구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된 것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정량한 결과, 지질 축적률이 3.24배 증가하였다(p<0.05).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을 처리한 세포는 MDI만 처리한 세포보다 각각 D. fruticosa Rydb. (15.51%), C. angustifolium Scop. (24.45%), G. sphaerogynum Kurz (69.10%), M. caloneura Kurz (39.67%) 및 C. arborescens Griff. (40.87%)의 지질 축적률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p<0.05). 양성대조군으로 쓰인 quercetin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는 53.08%로 G. sphaerogynum Kurz가 더 높은 지질 축적률 억제 효과를 보여 5종의 시료 중 가장 높은 효과를 확인하였다. Boccellino & D’Angelo (2020)는 항산화 활성 이 높을수록 3T3-L1 세포에서 지질 축적 억제 효과가 증가 한다고 보고하였으며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quercetin, naringenin 등이 지질 합성, 지질 분해 및 지방산 산화 경로 를 조절함으로써 지방간증을 억제하고 비만을 개선한다고 보 고하였다. 몽골 및 미얀마 식물 중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 장 높았던 G. sphaerogynum Kurz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결과를 통해 지방세포의 지질 축적이 플라보노이 드 물질과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체내에서 중성 지방은 포도당과 함께 세포의 중요한 에너 지원으로 사용되지만 지방세포의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축적 될 경우 당뇨병, 고혈압 및 암과 같은 다양한 만성 대사질환 의 원인이 된다(Marjani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T3- L1 세포에 MDI를 처리하여 지방 생성을 유도 후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을 처리한 지방 세포의 중성 지방 함량을 측정 하여 <Figure 2C>에 나타냈다. MDI를 처리하지 않은 3T3- L1 세포에서 중성 지방 함량은 33.78 mg/dL로, OA만 처리 한 세포에서 중성 지방 함량은 101.37 mg/dL로 나타나 중성 지방 생성이 3배 증가됨을 확인하였다(p<0.05). 몽골 및 미 얀마 식물을 처리한 세포의 중성지방 함량은 G. sphaerogynum Kurz (35.41 mg/dL), C. arborescens Griff. (36.39 mg/dL), M. caloneura Kurz (57.98 mg/dL), C. angustifolium Scop. (60.27 mg/dL), D. fruticosa Rydb. (82.01 mg/dL) 순으로 MDI만 처리한 세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중성지방 함량 억 제 효과를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quercetin의 중성 지방 함 량은 36.79 mg/dL로 추출물 G. sphaerogynum Kurz 및 D. fruticosa Rydb.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아 몽골 및 미 얀마 식물의 우수한 중성 지방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McMurray et al. (2016)에 따르면 산화스트레스는 세포 내 지질 대사를 교란시키고, 이로 인한 신체 대사의 기능 저하 와 비만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Okuno et al. (2018)에 따르면 비만일 경우 지방세포에 증가된 포도당의유 입으로 대사 작용이 증가하면서 세포 내에 산화적 스트레스 를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 결과, 항산화 활성이 높 았던 몽골 및 미얀마 식물 5종이 3T3-L1 세포에서 중성 지 방 함량을 모두 유의적으로 낮춰 항산화 활성을 통한 중성 지방 함량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7.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의 HepG2 세포에서 지질 축적 및 중 성지방 함량 억제 효과

    몽골 및 미얀마식물의 지질축적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 해 HepG2 세포에 OA를 이용하여 지방 생성을 유도 후 ORO 염색법으로 평가하였다.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 중 지질 과산화물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5종을 선별하여 지질 축적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분화 완료된 HepG2 세포를 ORO로 염색하고 현미경을 통해 관찰 후 정량 하였다<Figure 3A-3B>. 결과, OA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OA를 처 리한 세포는 지방구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되었으며 이를 정 량한 결과, 지질 축적률이 2.97배 증가하였다(p<0.05).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을 처리한 세포는 각각 R. acicularis Lindl. (12.71%), S. officinalis L. (31.54%), C. angustifolium Scop. (30.56%), C. arborescens Lam. (26.41%), G. sphaerogynum Kurz (21.39%)의 지질 축적률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쓰인 quercetin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는 30.68% 로 S. officinalis L. 및 C. angustifolium Scop.는 quercetin 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지질 축적 억제 효과가 높음 을 확인하였다. Balachander et al. (2018)에 따르면 비플라 보노이드인 rosmarinic acid이 pancreatic ER kinase와 inositol-requiring 1α 조절을 통한 소포체 스트레스 억제로 HepG2 세포에서 지질 축적률 억제 효과를 지닌다고 보고되 었다. 또한 Wang et al. (2012)에 따르면 carnosic acid는 epidermic growth factor receptor (EGFR)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를 통한 간세포의 지질 대사를 조절 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높은 지질 축적률 억 제 효과를 보인 S. officinalis L.의 RP-HPLC 분석 결과, 비 플라보노이드인 rosmarinic acid 및 carnos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고 carnosol, methyl carnosate 함량도 높게 측정되었 다고 보고되었다(Ollanketo et al. 2002). 따라서 몽골 및 미 얀마 식물 5종 중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S. officinalis L.의 지질 축적 억제율이 가장 높은 결과를 통 해 지질 축적이 비플라보노이드와 식물의 여러 성분에 따라 차이가 생겼을 것으로 판단된다.

    체내에서 중성 지방은 포도당과 함께 세포의 중요한 에너 지원으로 사용되지만 간세포의 중성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될 경우 지방간으로 인한 간기능 저하, 간경화, 간암 또는 다양 한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된다(Kawano & Cohen 2013).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HepG2세포에 OA로 중성 지방 생성을 유 도한 후 중성 지방 함량을 측정하여 <Figure 3C>에 제시하 였다. HepG2 세포에 OA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 중성 지방 함량은 32.85 mg/dL로, OA만 처리한 세포는 105.73 mg/dL 로 나타나 중성 지방 생성이 3.09배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p<0.05). 몽골 및 미얀마 식물 5종을 처리한 세포의 중성지 방 함량은 R. acicularis Lindl. (58.92 mg/dL), S. officinalis L. (61.60 mg/dL), C. angustifolium Scop. (56.11 mg/dL), C. arborescens Lam. (68.22 mg/dL), G. sphaerogynum Kurz (67.50 mg/dL)로 OA만 처리한 세포와 비교하여 평균 28.90 mg/dL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quercetin 의 중성 지방 함량은 56.57 mg/dL로 식물 5종과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아 몽골 및 미얀마 식물 5종의 간세포에서 우수한 중성 지방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Saha et al. (2019)에 따르면 식물의 비플라보노이드 성분이 fatty acid synthase (FAS) 및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 (SREBP-1)유전자 조절을 통한 지방산 산화 및 지 질 합성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지방간증을 개선한다고 보고 하였다. 가장 높은 중성지방 함량 억제 효과를 보인 C. angustifolium 종의 HPLC-DAD-MS n, UPLC-PDA-MS/ MS, HPLC-DAD 및 UPLC-MS/MS 분석 결과, 비플라보노 이드인 oenothein B, β-sitosterol 및 ellag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고 보고되었다(Agnieszka et al. 2018). 따라서 몽골 및 미얀마 식물 5종 중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 장 낮았던 C. angustifolium Scop. 의 중성지방 함량이 가장 낮은 결과를 통해 중성지방 생성이 플라보노이드 외 비플라 보노이드와 같은 식물의 여러 성분에 따라 차이가 생겼을 것 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총 폴리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 다. 또한pancreatic lipase 및 지질 과산화물 함량 억제 활성 을 통해 각각 3T3-L1 및 HepG2 세포에서 지질 축적률과 중성지방 함량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을 식품 소재로 활용 시 지방 세포와 간세포에 서 지질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몽골 및 미얀마 식물을 건강 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해 원료의 기능성, 안전성, 성분 분석 및 표준화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 요하다고 판단된다.

    IV.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몽골 및 미얀마산 식물 14종의 생리적 활성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3T3-L1과 HepG2 세포에서 식물 14종의 항산화 및 지질 축적 억제 효 과를 검증하였다. 몽골 및 미얀마 식물 중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M. paniculataC. benghalensis가 가장 높았다.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의 건 강 식품 소재로서 가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ABTS, FRAP 및 ORAC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14종 중 12 종이 양성대조군인 ascorbic acid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및 지질 과산화물 감소 효과는 각각 C. angustifolium Scop.와 C. abrorescens Lam. 에서 가장 높았다. 14종 중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이 높았던 상위 5종의 3T3-L1 세포에서 ORO 염색법 및 중성 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G. sphaerogynum Kurz가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지질 과산화물 함량 억제 효과가 높은 상위 5종의 HepG2 세포에서 ORO 염색법 및 중성 지방 함 량을 측정한 결과, S. officinalis L., C. angustifolium Scop. 에서 OA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30%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논문이 몽골 및 미얀마 식물 14종을 건강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생리활성물질, 항산화 및 지질 축적 억제 효과를 검증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라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해외생물소재센터(IBMRC; International Biological Material Research Center, Daejeon, Korea)로부터 식물 추 출물을 분양 받아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ure

    KJFC-36-1-130_F1.gif
    Effect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cell viability in 3T3-L1 and HepG2 cell.

    Cells were incubated with 100, 200 and 400 μg/mL of extracts for 24 h. Cell viability of the treatment with extracts were determined in (A) 3T3-L1 and (B) HepG2 cell by MTT assay.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 ± SD of triplicate experi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s were analyzed using ANOVA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0.05. DF, Dasiphora fruticosa Rydb.; CA, Chamaenerion angustifolium Scop.; GS, Glochidion sphaerogynum Kurz; MC, Mangifera caloneura Kurz; CG, Calamus arborescens Griff.; RA, Rosa acicularis Lindl.; SO, Sanguisorba officinalis L.; CL, Caragana arborescens Lam.; GK, Glochidion sphaerogynum Kurz.

    KJFC-36-1-130_F2.gif
    Effect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

    (A) 3T3-L1 cells were stained with Oil Red O and observed under the microscope and (B) quantified lipid accumulation and (C) measured triglyceride content.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 ± SD of triplicate experi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s were analyzed using ANOVA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0.05. DF, Dasiphora fruticosa Rydb.; CA, Chamaenerion angustifolium Scop.; GS, Glochidion sphaerogynum Kurz; MC, Mangifera caloneura Kurz; CG, Calamus arborescens Griff.

    KJFC-36-1-130_F3.gif
    Effect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on lipid accumulation in HepG2 cell.

    (A) HepG2 cells were stained with Oil Red O and observed under the microscope and (B) quantified lipid accumulation and (C) measured triglyceride content.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 ± SD of triplicate experi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s were analyzed using ANOVA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0.05. OA, Oleic acid; RA, Rosa acicularis Lindl.; SO, Sanguisorba officinalis L.; CA, Chamaenerion angustifolium Scop; CL, Caragana arborescens Lam.; GK, Glochidion sphaerogynum Kurz.

    Tabl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Antioxidant activities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level of 14 plants from Mongolia and Myanmar

    Reference

    1. Abenavoli L , Milic N , Luzza F , Boccuto L , Lorenzo A. 2017. Polyphenols Treatment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Transl. Int. Med., 5(3):144-147
    2. Agnieszka G , Mariola D , Anna P , Piotr K , Natalia W , Aneta S , Marcin O , Bogna O , Zdzislaw L , Aurelia P , Magdalena M , Lukasz MP , Karolina W. 2018.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ex vitro Chamaenerion angustifolium (L.) (Epilobium augustifolium) herb in different harvest times. IND. CROP. PROD., 123:208-220
    3. Ahn EM , Kang HJ , Kim Y , Choe YS , Kang MS. 2015.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in Korea on differentiation and secretion of MCP-1 and adiponectin in 3T3-L1 adipocytes and lipid accumulation in HepG2 hepatocyt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1): 99-110
    4. Amalina N , Bakar MFA , Bakar FIA , Rahim AC , Murdin N. 2019. Underutilized Mangifera species (Mangifera caesia, Mangifera quadrifida and Mangifera odorata) from Borneo: a potential source of antioxidant. J. Eng. Appl., 14(4):1169- 1177
    5. Apovian CM. 2016. Obesity: definition, comorbidities, causes, and burden. Am. J. Manag. Care, 22(7):s176-s185
    6. Balachander GJ , Subramanianb S , langoK.2018. Rosmarinic acid attenuates hepatic steatosis by modulating ER stress and autophagy in oleic acid-induced HepG2 cells. RSC. Adv., 8:26656-26663
    7. Benedict M , Zhang X. 2017.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 expanded review. World J. Hepatol., 9(16):715-732
    8. Biernasiuk A , Wozniak M , Bogucka-Kocka A. 2015. Determination of free and bounded phenolic acids in the rhizomes and herb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Curr. Issues Pharm. Med.. Sci., 28(4):254-256
    9. Blokhina O , Virolainen E , Fagerstedt KV. 2003. Antioxidants, oxidative damage and oxygen deprivation stress: a review. Ann. Bot., 91(2):179-19
    10. Boccellino M , D’Angelo S. 2020. Anti-obesity effects of poly phenol intake:curr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Int. J. Mol. Sci., 21:5642
    11. Breitenbach M , Eckl P. 2015. Introduction to oxidative stress in biomedical and biological research. Biomolecules, 5(2): 1169-1177
    12. Buchholz T , Melzig MF. 2015. Polyphenolic compounds as pancreatic lipase inhibitors. Planta. Med., 81(10):771-783
    13. Choi SE , Lee WK , Yu HN , Kang HD , Kim YS. 2014.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Land Cover Change and 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 in Central Dry Zone of Myanmar. Korean Assoc. Geogr. Inf. Stud., 17(2):82-94
    14. D'Angiolillo F , Mammano MM , Fascella G. 2018. Pigments,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extracts from four wild rose species grown in Sicil. Not. Bot. Horti. Agrobo., 46(2): 402-409
    15. DeFilipps RA , Krupnick GA. 2018. The medicinal plants of Myanmar. PhytoKeys. PhytoKeys, 102:1-341
    16. Dissanayake1 DP , Abeytunga1 DTU , Vasudewa1 NS , Ratnasooriya WD. 2009.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by extracts of Pleurotus ostreatus. Pharmacogn. Mag., 5(19):266-271
    17. Gurnani N , Gupta M , Mehta D , Mehta BK. 2018. Chemical composition,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nd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from red chilli seeds (Capsicum frutescens L.). J. Taibah Univ. Med. Sci., 10:462-470
    18. GutiErrez-Grijalva EP , Ambriz-Pere DL , Leyva-Lopez N , Castillo- Lopez RI , Heiedia JB. 2016. Review: dietary phenolic compounds, health benefits and bioaccessibility. Arch. Latinoam. Nutr., 66(2):87-100
    19. Jeon YS , Jo BS , Park HJ , Kang SA , Cho YJ. 2012.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aragana sin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9):1211-1219
    20. Kang SK. 2012. Climatic and socio-ecological considerations on yellow dust and desertification in dryland regions of the northeast Asia. Korea J. Nat. Conserv., 6(1):1-8
    21. Karadag A , Ozcelik B , Saner S. 2009. Review of methods to determine antioxidant capacities. Food Anal. Methods, 2(1):41-60
    22. Kawano Y , Cohen DE. 2013. Mechanisms of hepatic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J. Gastroenterol., 48(4):434-441
    23. Kim SJ , Kim GH. 2020. Plants from Ulleung island ameliorate lipid accumul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oleic acid-induced in HepG2 Cells. Korean Soc. Food Cult.,27(6):817-828
    24. Kraus NA , Ehebauer F , Zapp B , Rudolphi B , Kraus BJ , Kraus D. 2016. Quantitative assessment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cell culture. Adipocyte, 5(4):351-358
    25. Kumar P , Sharma S , Khanna M , Raj HG. 2003. Effect of Quercetin on lipid peroxidation and changes in lung morphology in experimental influenza virus infection. Int. J. Exp. Pathol, 84(3):127-133
    26. Lewis WH. 1959. A monograph of the genus Rosa in North America. I. R. acicularis. Brittonia, 11:1-24
    27. Li R , Jia Z , Trush MA. 2016. Defining ROS in biology and medicine. React Oxyg. Species (Apex), 1(1): 9-21
    28. Lim SM , Goh YM , Kuan WB , Loh SP. 2014. Effect of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on pancreatic lipase, adipogenesis and lipolysis in 3T3-L1 adipocytes. Lipids Health Dis., 13(169):1-9
    29. Liu TT , Liu XT , Chen QX , Shi Y. 2020. Lipase Inhibitors for Obesity: A Review. Biomed. Pharmacother., 128(110314):1- 9
    30. Liu W , Yin D , Li N , Hou X , Wang D , Li D , Liu J. 2016.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ctive substance produ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otentilla fruticosa L. and its quality assessment. Sci. Rep., 6(28591):1-18
    31. Madrigal-Carballo S , Rodriguez G , Krueger CG , Dreher M , Reed JD. 2009. Pomegranate (Punica granatum) supplements: Authenticity. J. Funct. Foods, 1(3):324-329
    32. Marjani A. 2015. A review on the role of triglyceride in metabolic syndrome. Asian J. Pharm. Clin. Res., 8(3):1-3
    33. McMurray F , Patten DA , Harper ME. 2016. Reactive oxygen species an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recent findings and empirical approaches. Obesity, 24(11):2301-2310
    34. Meghwal PR , Singh A , Kumar P , Morwal BR. 2014. Diversity, distribution and horticultural potential of Cordia myxa L.: a promising underutilized fruit species of arid and semi arid regions of India. Genet. Resour. Crop. Evol., 61:1633-1643
    35. Melo PEF , Silva APM , Marques FP , Ribeiro PRV , Souza Filho MDSM , Brito ES , Lima JR , Azeredo HMC. 2019. Antioxidant films from mango kernel components. Food Hydrocoll., 95:487-495
    36. Morales M , Giraldo SZ , Jaimes T , Delgado SR , Arbelaez AFA , Maldonado ME , Zamorano P , Rojano B. 2017. Mangiferin content, carotenoids, tannins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values of six mango (Mangifera indica) cultivars from the Colombian Caribbean. J. Med. Plant Res., 11(7):144-152
    37. Morita M , Ishida N , Uchiyama K , Yamaguchi K , Itoh Y , Shichiri M , Yoshida Y , Hagihara Y , Naito Y , Yoshikawa T , Niki E. 2012. Fatty liver induced by free radicals and lipid peroxidation. Free Radic. Res., 46(6):758-765
    38. Niki E , Yoshida Y , Saito Y , Noguchi N. 2005. Lipid peroxidation: mechanisms, inhibition, and biological effec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8(1):668-76
    39. Odontuya G. 2016. Anti-oxidative, acetylcholinester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ompounds from Dasiphora fruticosa, Myricaria alopecuroides and Sedum hybridum. Mong. J. Chem., 17(43)42-49
    40. Okuno Y , Fukuhara A , Hashimoto E , Kobayashi H , Kobayashi S , Otsuki M , Shimomura L. 2018. Oxidative stress inhibits healthy adipose expansion through suppression of SREBF1- mediated lipogenic pathway. Diabetes, 67(6): 1113-1127.
    41. Ollanketo M , Peltoketo A , Hartonen K , Hiltunen R , Riekkola ML. 2002. Extraction of sage (Salvia officinalis L.) by pressurized hot water and conventional methods: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Eur. Food Res. Technol., 215:158- 163
    42. Park JY , Kim CS , Park KM , Chang PS. 2019. Inhibitory characteristics of flavonol-3-O-glycosides from Polygonum aviculare L. (common knotgrass) against porcine pancreatic lipase. Sci. Rep., 9(18080):1-10
    43. Pavel S , Klejdus B , Kubáň V. 2006. Determination of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in vegetables evaluation of spectrophotometric methods. J. Agr. Food Chem., 54(3):607-16
    44. Poli G , Albano E , Dianzani MU. 1987. The role of lipid peroxidation in liver damage. Chem. Phys. Lipids, 45(204):117-42
    45. Shah P , Modi HA. 2015. Comparative study of DPPH, ABTS and FRAP assays for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Int. j. res., 3(4):2321-9653
    46. Saha P , Talukdar AD , Nath R , Sarker SD , Nahar L , Sahu J , Choudhury MD. 2019. Role of natural phenolics in hepatoprotection: a mechanistic review and analysis of regulatory network of associated genes. Front. Pharmacol., 10(509):1- 25
    47. Sorokina M , Steinbeck C. 2020. Review on natural products databases: where to find data in 2020. J Cheminform, 12(20):1-51
    48. Sternberg T , Tsolmon R , Middleton NM , Thomas DSG. 2011. Tracking desertification on the Mongolian steppe through NDVI and field-survey data. Int. J. Digit. Earth, 4(1):50-64
    49. Tomczyk M. , Paduch R. , Wiater A. , Pleszczynska M. , Kandefer- Szerszen M. , Szczodrak J. 2013. The influence of aqueous extracts of selected Potentilla species on normal human colon cells. Acta. Pol. Pharm., 70(3):523-531.
    50. Truong D.H. , Nguyen D.H. , Ta N.T.A. , Bui A.V. , Do T.H. , Nguyen, H.C. 2019. Evaluation of the Use of different solvents for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tioxidants, and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everinia buxifolia. J. Food. Qual., 2019:1-9.
    51. Um ES , Kim YS. 2016. Effect of Samhwangsasim-tang and Daehwanghwangryunsasim-tang on palmitate-induced lipogenesis in HepG2 cells. Korean J. Orient. Med. Prescr., 37(1): 62-76
    52. Urgamal M , Baasansuren E , Tovuudorj ME , Shijirbaatar O , Chinbaatar Z , Lkhagvadorj K , Kwon OS. 2018. Medicinal plant diversity in the southern and eastern Gobi Desert region, Mongolia. J. Eco. Env., 42(4):1-13
    53. Wadje SD , Wankhede BG , Mali MR. 2019. Phytochemical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areya arborea Roxb. Leaves successive extracts. J. drug. deliv. Ther., 9(2-S):53-56
    54. Wahyono A , Dewi AC , Yudiastuti SON , Jamilah S , Kang WW. 202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bread enriched with pumpkin flour. IOP Conf. Ser. Earth Environ. Sci., 411:012049
    55. Walker JM. 1994. The bicinchoninic acid (BCA) assay for protein quantitation. Methods Mol. Biol., 32:5-8
    56. Wang H , Eckel RH. 2009. Lipoprotein lipase: from gene to obesity.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97: E271- E288
    57. Wang T , Takikawa Y , Tabuchi T , Satoh T , Kosaka K , Suzuki K. 2012. Carnosic acid (CA) prevents lipid accumulation in hepatocytes through the EGFR/MAPK pathway. J. Gastroenterol., 47(7):805-813
    58. Werkhoven CHE , Salisbury PJ. 1966. Germination and survival of Colorado spruce, Scots pine, Caragana and Siberian elm at four salinity and two moisture levels. Can. J. Plant Sci., 46(1):1-7
    59. Williamson G , Kay CD , Crozier A. 2018. The bioavailability, transport, and bioactivity of dietary flavonoids: a review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COMPR. REV. FOOD SCI. F., 17(4):1-59
    60. Yang J , Fernández-Galilea M , Martínez-Fernández L , González- Muniesa P , Pérez-Chávez A , Martínez JA , Moreno-Aliaga MJ. 2019. Oxidative stres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effects of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Nutrients, 11(4): 872
    61. Young I , Woodside J. 2001. Antioxidants in health and disease. J. Clin. Pathol., 54(3):176-186